약한 상호작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약한 상호작용은 입자물리학의 기본 상호작용 중 하나로, 1933년 엔리코 페르미가 베타 붕괴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했다. 1950년대 중반에는 약한 상호작용에서 패리티 대칭 위반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 제기되었고,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1960년대에는 전자기력과 통합되어 전약력 이론이 제시되었으며, 1983년 W 및 Z 보손의 발견으로 검증되었다. 약한 상호작용은 쿼크와 렙톤의 플레이버를 바꾸는 유일한 상호작용이며, 패리티와 CP 대칭을 위반한다. 또한, 힉스 메커니즘에 의해 설명되는 질량을 가진 게이지 보손에 의해 매개된다. 약한 상호작용은 전하를 띤 흐름 상호작용과 중성 전류 상호작용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힘 - 전기장
전기장은 공간의 각 지점에서 단위 전하가 받는 힘으로 정의되는 벡터장으로, 전하 또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며, 전기력선으로 표현되고 맥스웰 방정식으로 기술되는 전자기장의 한 요소이다. - 힘 - 양력
양력은 유체 속에서 물체가 받는 수직 방향의 힘이며, 받음각, 익형, 공기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지며 항공기 날개, 헬리콥터, 선박 프로펠러 등에서 활용된다. - 핵물리학 - 핵분열
핵분열은 원자핵이 중성자와 충돌하여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열되는 현상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원자력 발전과 핵무기에 응용되지만 방사성 폐기물 처리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핵물리학 - 알파 붕괴
알파 붕괴는 원자핵이 헬륨-4 원자핵인 알파 입자를 방출하여 원자 번호와 질량수가 감소하는 방사성 붕괴의 한 형태로, 무거운 원자핵에서 주로 발생하며 양자 터널링 효과로 설명되고 연기 감지기 등에 활용되지만 인체에 유해할 수도 있다. - 물리학에 관한 - 전력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되며,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송전 및 배전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되고, 에너지 저장 기술을 통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산업, 상업, 가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된다. - 물리학에 관한 - N형 반도체
N형 반도체는 전자를 주된 전하 운반체로 사용하는 반도체이다.
약한 상호작용 | |
---|---|
약한 상호작용 | |
![]() | |
개요 | |
상호작용 종류 | 기본 상호작용 중 하나 |
작용 입자 | 페르미온 |
매개 입자 | W보손 및 Z보손 |
작용 범위 | 원자핵 크기 수준 (극히 짧음) |
상대적 강도 | 전자기력의 10^(-13)배 정도 |
역할 | 베타 붕괴 핵융합 |
이론적 배경 | 전약력 이론 |
역사 | |
발견 | 베타 붕괴 연구 과정에서 발견 |
전약력 이론 | 1960년대 셸던 글래쇼, 스티븐 와인버그, 압두스 살람이 전자기력과 통합 |
매개 입자 확인 | 1980년대 W보손과 Z보손 발견 |
특징 | |
짧은 작용 거리 | 매개 입자의 질량이 커서 짧은 거리에서만 작용 |
입자 종류 변화 | 쿼크의 종류를 바꾸거나 렙톤을 생성/소멸시키는 역할 |
패리티 대칭성 위반 | 패리티 대칭성을 위반하는 유일한 상호작용 |
중성미자 상호작용 | 중성미자만이 약한 상호작용에만 관여 |
쿼크 맛 변화 | 쿼크의 종류를 바꿈 |
CKM 행렬 | 쿼크 맛 변화는 CKM 행렬에 의해 기술됨 |
관련 현상 | |
베타 붕괴 | 원자핵 내 중성자가 양성자로 변환 |
핵융합 | 태양을 비롯한 별들의 에너지 생성 과정 |
중성미자 반응 | 중성미자가 물질과 상호작용하는 과정 |
표준 모형 | |
이론 구성 | 표준 모형의 중요한 구성 요소 |
페르미온 상호작용 | 페르미온 간의 상호작용을 매개 |
W, Z 보손 | W보손과 Z보손이 매개 |
힉스 보손 | 힉스 보손은 약한 상호작용의 매개 입자에 질량을 부여하는 역할 |
기타 | |
관련 연구자 | 조지 스달샨 로버트 마샤크 리처드 파인만 머리 겔만 사카타 쇼이치 셸던 글래쇼 조지 츠바이크 난부 요이치로 한 무영 니콜라 카비보 스티븐 와인버그 압두스 살람 고바야시 마코토 마스카와 도시히데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마르티뉘스 펠트만 데이비드 그로스 H. 데이비드 폴리처 프랭크 윌첵 |
2. 역사
엔리코 페르미가 베타 붕괴를 설명하기 위해 '약한 상호작용'이라는 개념을 처음 제안한 이후, 여러 과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약한 상호작용의 본질이 밝혀졌다.
1950년대 중반, 양전닝과 리정다오는 약한 상호작용에서 패리티 대칭성이 위반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고, 1957년 우젠슝이 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하였다.[7]
1960년대에는 셸던 글래쇼, 압두스 살람, 스티븐 와인버그가 전자기력과 약한 상호작용을 통합한 전약력 이론을 제시하였다.[8][9] 이 이론은 광자 외에 약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새로운 입자인 W+, W-, Z 보손의 존재를 예측했으며, 1983년 CERN에서 이 입자들이 실제로 발견되면서 전약력 이론이 실험적으로 검증되었다.[10]
2. 1. 엔리코 페르미의 베타 붕괴 이론
엔리코 페르미는 베타 붕괴를 설명하기 위해 '약한 상호작용' 이론을 제안했다. 1933년 엔리코 페르미는 베타 붕괴가 범위가 없는 접촉력을 포함하는 네 개의 페르미온 상호작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페르미 상호작용을 제안했다.[5][6] 낮은 에너지에서는 페르미가 고안한 간단한 4점(點) 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하나, 재규격화할 수 없으며, 따라서 높은 에너지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2. 2. 패리티 대칭성 위반
자연 법칙은 오랫동안 거울 반사에 대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거울을 통해 본 실험 결과는 별도로 구성된 거울 반사된 실험 장치의 결과와 동일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른바 패리티 보존 법칙은 고전 중력, 전자기학 및 강한 상호 작용에서 존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고, 보편적인 법칙으로 여겨졌다.[26] 1950년대 중반 양첸닝과 리정다오는 약한 상호 작용이 이 법칙을 위반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우젠슝과 동료들은 1957년 약한 상호 작용이 패리티를 위반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양첸닝과 리정다오에게 1957년 노벨 물리학상을 안겨주었다.[27]
약한 상호 작용은 한때 페르미 이론으로 설명되었지만, 패리티 위반과 재규격화 이론의 발견으로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함이 시사되었다. 1957년 로버트 마르삭과 조지 수다르샨, 그리고 다소 늦게 리처드 파인만과 머레이 겔만은 약한 상호 작용에 대한 '''V − A'''(벡터 빼기 축 벡터 또는 왼손성) 라그랑주량을 제안했다. 이 이론에서 약한 상호 작용은 왼손성 입자(그리고 오른손성 반입자)에만 작용한다. 왼손성 입자의 거울 반사는 오른손성이므로 이것은 패리티의 최대 위반을 설명한다. ''V − A'' 이론은 Z 보손의 발견 이전에 개발되었으므로 중성 전류 상호 작용에 들어가는 오른손성 장은 포함하지 않았다.
2. 3. 전약력 이론
1968년, 셸던 글래쇼, 압두스 살람, 스티븐 와인버그는 전자기력과 약한 상호작용을 통합하는 전약력 이론을 완성했다.[8][9][22] 이 이론은 W+, W–, Z 보손의 존재와 힉스 메커니즘을 예측했다.[23] 글래쇼, 살람, 와인버그는 이 업적으로 197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22]전약력 이론에 따르면, 매우 높은 에너지에서 우주는 네 가지 성분을 가진 힉스 장을 가지며, 이들의 상호작용은 네 개의 질량이 없는 보손에 의해 매개된다. 낮은 에너지에서는 힉스 장 중 하나가 진공 기대값을 얻어 게이지 대칭이 자발적으로 깨진다. 이 대칭 붕괴는 세 개의 질량 없는 골드스톤 보손을 생성하지만, 이들은 힉스 메커니즘을 통해 세 개의 약한 보손(W+, W–, Z)에 통합되어 질량을 얻는다. 네 번째 전약 게이지 보손은 전자기의 광자이며, 질량이 없다.[23]
2012년 7월 4일, 거대 강입자가속기의 CMS와 ATLAS 실험팀은 125~127 GeV/c2 질량의 힉스 보손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보손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2013년 3월 14일, 힉스 보손의 존재가 잠정적으로 확인되었다.[24]
2. 4. W 및 Z 보손의 발견
1983년에 W 및 Z 보손이 발견되었다.[10] 이 발견은 셸던 글래쇼, 압두스 살람, 스티븐 와인버그가 전자기력과 약한 상호작용을 통합하여 전약력으로 불리는 단일 힘의 두 가지 측면임을 보인 이론을 뒷받침한다.[8][9]3. 특성
약한 상호작용은 쿼크와 렙톤의 맛깔을 바꾸는 유일한 상호작용이며, 패리티(P) 대칭성과 전하-패리티(CP) 대칭성을 위반한다. 이러한 특성 변환은 W 및 Z 보손이라는 무거운 입자를 통해 매개된다.[3] 약한 상호작용은 유효 거리가 매우 짧고(약 0.01fm~0.1fm),[14][13] 결합 상수가 작아 다른 상호작용에 비해 "약하다".[13][14]
약한 상호작용은 다음과 같은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 쿼크와 렙톤의 플레이버(맛깔)를 바꿀 수 있다.
- 패리티 대칭(P) 및 전하-패리티 대칭(CP)을 위반한다.
- 힘 매개 입자인 W 및 Z 보손이 큰 질량을 가진다.
중성자의 베타 붕괴나 별에서 수소가 헬륨으로 융합되는 과정은 약한 상호작용의 대표적인 예시이다.[3] 대부분의 페르미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한 상호작용에 의해 붕괴되며, 이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에 활용된다.[33]
전약력은 초기 우주의 쿼크 시대 동안 전자기력과 약한 힘으로 분리된 것으로 여겨진다.
3. 1. 플레이버 변환
약한 상호작용은 쿼크와 렙톤의 플레이버(맛깔)를 바꿀 수 있는 유일한 상호작용이다. 예를 들어, 중성자는 양성자보다 무거운데, 두 개의 '다운' 쿼크 중 하나의 플레이버(종류)를 '업' 쿼크로 바꿈으로써 양성자로 붕괴될 수 있다. 강한 상호작용이나 전자기력은 플레이버 변화를 허용하지 않으므로, 이것은 '''약한 붕괴'''를 통해서만 진행될 수 있다.[10] 모든 메손은 약한 붕괴 때문에 불안정하다.[10]베타 붕괴 과정에서, 중성자의 '다운' 쿼크는 가상 보손을 방출하여 '업' 쿼크로 변환되며, 이는 곧 전자와 전자 반중성미자로 붕괴된다.[10] 쿼크 수준에서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하전 렙톤(전자나 뮤온 등, 전하 -1)이 보손(전하 +1)을 흡수하면 그에 대응하는 뉴트리노(전하 0)로 변환된다. 뉴트리노의 종류(플레이버: 전자, 뮤온, 타우)는 상호작용에서 렙톤의 종류와 같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다운형 쿼크(전하 -⅓)는 보손을 방출하거나 보손을 흡수하여 업형 쿼크(전하 +⅔)로 변환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다운형 쿼크는 업형 쿼크의 양자 중첩 상태가 되며, CKM 행렬에 주어진 확률에 따라 세 가지 업형 쿼크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반대로 업형 쿼크는 보손을 방출하거나 보손을 흡수하여 다운형 쿼크로 변환될 수 있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보손은 불안정하기 때문에 매우 짧은 수명으로 빠르게 붕괴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다양한 확률로 다른 생성물로의 붕괴가 일어날 수 있다.[49]
3. 2. 대칭성 위반
약한 상호작용은 거울 대칭(패리티)을 최대로 위반하는 유일한 상호작용이다. 이는 왼손잡이 입자만 약한 상호작용에 참여하고 오른손잡이 입자는 참여하지 않기 때문이다.1950년대 중반 양첸닝과 리정다오는 약한 상호작용이 패리티 대칭을 위반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1957년 우젠슝과 동료들은 약한 상호작용이 패리티를 위반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했고, 양첸닝과 리정다오는 이 공로로 195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27]
전하-패리티(CP) 대칭 (입자-반입자 대칭) 또한 약한 상호작용에서 약간 깨진다. 1964년 제임스 크로닌과 발 피치는 카온 붕괴에서 CP 대칭이 깨짐을 발견하여 198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28] 1973년 고바야시 마코토와 마스카와 도시히데는 CP 대칭 깨짐이 두 개 이상의 입자 세대가 존재해야 함을 보였고,[29] 이는 당시 알려지지 않았던 세 번째 세대의 존재를 예측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들은 이 공로로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30]
CP 대칭성 깨짐은 우주의 물질-반물질 비대칭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CP 대칭성 깨짐은 안드레이 사카로프가 제시한 바리오제네시스의 세 가지 조건 중 하나이다.[31]
3. 3. 매개 입자 (W 및 Z 보손)
셸던 글래쇼, 압두스 살람, 스티븐 와인버그는 약한 상호작용과 양자전기역학을 통합한 전기약 이론을 개발하여, 광자 외에 W+, W-, Z 보손을 예측하였다. 이 입자들은 이후 발견되어 이론을 입증했다.[11]약한 상호작용의 게이지 보손은 SU(2) × U(1) 게이지 대칭과 관련되며, 낮은 에너지에서 힉스 메커니즘을 통해 W 및 Z 보손 (W+, W-, Z)이 질량을 얻게 된다. 반면 질량이 없는 네 번째 게이지 보손은 전자기장의 광자이다.
W 보손과 Z 보손은 질량이 매우 커서(약 90GeV/c2)[39] 수명이 초 미만으로 매우 짧다.[40]
3. 4. 약한 아이소스핀과 약한 초전하
모든 입자는 약한 아이소스핀(Weak isospin영어, 기호 )이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입자가 약력의 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제한하는 가법 양자수 역할을 한다. 약한 아이소스핀은 약한 상호 작용에서 와의 상호 작용에 있어 전하가 전자기력에서, 색전하가 강한 상호 작용에서 하는 역할과 같다. 모든 왼손잡이 페르미온은 또는 의 약한 아이소스핀 값을 가지며, 모든 오른손잡이 페르미온은 아이소스핀이 0이다. 예를 들어, 업 쿼크는 이고 다운 쿼크는 이다. 쿼크는 약한 상호 작용을 통해 절대 같은 의 쿼크로 붕괴되지 않는다. 가 인 쿼크는 가 인 쿼크로만 붕괴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주어진 강한 상호작용, 전자기적 상호작용 또는 약한 상호작용에서 약한 아이소스핀은 보존된다.[10] 상호 작용에 들어가는 입자들의 약한 아이소스핀 수의 합은 그 상호 작용에서 나오는 입자들의 약한 아이소스핀 수의 합과 같다. 예를 들어, 약한 아이소스핀이 +1인 (왼손잡이) 는 일반적으로 ()와 (오른손잡이 반입자, )로 붕괴된다.
1세대 | 2세대 | 3세대 | ||||||
---|---|---|---|---|---|---|---|---|
페르미온 | 기호 | 약한 아이소스핀 () | 페르미온 | 기호 | 약한 아이소스핀 () | 페르미온 | 기호 | 약한 아이소스핀 () |
전자 중성미자 | 뮤온 중성미자 | 타우 중성미자 | ||||||
전자 | 뮤온 | 타우 | ||||||
업 쿼크 | 참 쿼크 | 톱 쿼크 | ||||||
다운 쿼크 | 스트레인지 쿼크 | 바텀 쿼크 | ||||||
위의 모든 왼손잡이(일반) 입자는 크기가 같고 부호가 반대인 약한 아이소스핀을 가진 오른손잡이 반입자에 해당한다. | ||||||||
모든 오른손잡이(일반) 입자와 왼손잡이 반입자는 약한 아이소스핀이 0이다. |
전약 이론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 또 다른 성질인 약한 초전하가 고안되었다.
:
여기서 는 전하 (기본 전하 단위)와 약한 아이소스핀 를 가진 입자의 약한 초전하이다. 약한 초전하는 전약 게이지 군의 U(1) 성분의 생성자이다. 일부 입자는 약한 아이소스핀이 0이지만, 알려진 모든 스핀 입자는 0이 아닌 약한 초전하를 가진다.
4. 상호작용의 종류
약한 상호작용에는 전하를 띤 흐름 상호작용과 중성 흐름 상호작용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전자는 W 보손을 교환하여 쿼크나 렙톤의 전하를 변화시키는 상호작용으로, 베타 붕괴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후자는 중성 Z 보손을 방출하거나 흡수하는 상호작용이다.
4. 1. 전하를 띤 흐름 상호작용
W 보손을 교환하여 쿼크나 렙톤의 전하를 변화시키는 상호작용이다. 베타 붕괴, 뮤온 붕괴 등이 이에 해당한다.전하를 띤 약한 상호작용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쿼크와 렙톤의 플레이버를 바꿀 수 있다. (예: 한 종류의 쿼크를 다른 종류의 쿼크로 바꿈)[11]
- 패리티 대칭(P) 및 전하-패리티 대칭(CP)을 위반한다.
- 힘 매개 입자(W 보손)가 상당한 질량을 가진다. (표준 모형의 힉스 메커니즘으로 설명)[12]
W 보손은 질량이 커서(약 90 GeV/c²)[11] 수명이 매우 짧다.(10-24 초 미만)[12] 약한 상호작용의 결합 상수는 10-7에서 10-6 사이로, 강한 상호작용이나 전자기 상호작용보다 약하다.[13] 유효 범위는 매우 짧다.(약 10-17~10-16 m)[14][13]
약한 상호작용의 대표적인 예시는 플레이버 변화를 일으키는 베타 붕괴이다. 중성자는 양성자보다 무거운데, 중성자 내의 다운 쿼크가 가상 - 보손을 방출하여 업 쿼크로 바뀌면서 양성자로 붕괴될 수 있다. 이때 방출된 W⁻ 보손은 전자와 전자 반중성미자로 붕괴된다.[10]
쿼크 수준에서 베타 붕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이 외에도 하전된 렙톤(전자, 뮤온 등)이 +을 흡수하여 중성미자로 변환되거나, 다운형 쿼크가 W⁻ 보손을 방출하거나 W⁺ 보손을 흡수하여 업형 쿼크로 변환되는 과정 등이 있다.
W 보손은 불안정하여 빠르게 붕괴하는데, 붕괴 과정은 다음과 같다.[18]
:
탄소-14는 약한 상호작용에 의해 질소-14로 붕괴하는데, 이는 방사성탄소연대측정에 이용된다. 또한 방사선 루미네선스를 생성하여 삼중수소 조명 및 베타볼타익스에 사용된다.[33]
4. 2. 중성 흐름 상호작용
중성 전류 상호작용에서, 쿼크나 렙톤(전자나 뮤온 등)은 중성 Z 보손을 방출하거나 흡수한다. 예를 들어:
Z 보손은 W 보손과 마찬가지로 빠르게 붕괴된다.[18]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전하 전류 상호작용과 달리, 중성 전류 상호작용은 선택 규칙이 카이랄성, 전하, 약 아이소스핀에 의해 엄격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표준 모형의 임의의 두 페르미온은 입자 또는 반입자, 임의의 전하, 좌우 카이랄성 모두 가능하지만, 상호작용의 세기는 다르다.
5. 전약력 이론 (와인버그-살람 이론)
엔리코 페르미가 베타 붕괴를 설명하기 위해 '약한 상호작용'을 도입한 이후, 1968년 셸던 글래쇼, 압두스 살람, 스티븐 와인버그는 약한 상호작용과 양자전기역학을 통합한 전약력 이론(살람-글래쇼 이론 또는 와인버그-살람 이론)을 개발하였다.[51] 이 이론은 광자 외에 전자기력과 약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새로운 입자 (W+, W–, Z 보손)들을 예측하였고, 이 입자들은 이후 발견되어 이론이 실험적으로 입증되었다.
전약력 이론에서 약한 상호작용의 게이지 보손은 '''SU'''(2) × '''U'''(1) 게이지 대칭과 관련된다. 힉스 메커니즘에 따르면, 높은 에너지에서 힉스 장은 네 가지 성분을 가지며, 상호작용은 네 가지 질량이 없는 게이지 보손에 의해 매개된다. 그러나 낮은 에너지에서는 힉스 장 중 하나가 진공 기대값을 얻어 게이지 대칭성이 자발적으로 깨져 전자기 '''U'''(1) 대칭으로 떨어진다. 이 대칭 붕괴는 세 개의 질량 없는 골드스톤 보손을 생성하지만, 이들은 힉스 메커니즘을 통해 광자와 같은 세 개의 장과 통합되어 질량을 얻는다. 이 세 장이 W+, W–, Z 보손이 되어 약작용에 관여하고, 질량 없는 네 번째 게이지 장은 전자기장의 광자가 된다.[52]
거대 강입자 충돌기의 CMS와 ATLAS 실험팀은 2012년 7월 4일 125~ GeV/c2 질량의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보손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으며, 2013년 3월 14일 힉스 보손의 존재를 잠정적으로 확인했다.[53]
6. 한국과 약한 상호작용 연구
한국은 중성미자 실험을 통해 약한 상호작용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원자로 중성미자 진동 실험(RENO)는 중성미자 진동변환상수 θ13 값을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14] 이 실험 결과는 중성미자 질량 순서와 CP 위반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한국 연구진은 차세대 중성미자 실험에도 참여하여 약한 상호작용의 비밀을 밝히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6. 1. 한국의 중성미자 실험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단계에서도 내용이 작성되지 않았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으로 출력합니다.)참조
[1]
서적
Introduction to Elementary Particles
[2]
논문
A theory of the fundamental interactions
https://dx.doi.org/1[...]
1957-11-01
[3]
웹사이트
Fundamental Forces - The Weak Force
http://hyperphysics.[...]
Georgia State University
2023-07-12
[4]
보도자료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79
http://nobelprize.or[...]
Nobel Media
2011-03-22
[5]
논문
Versuch einer Theorie der β-Strahlen. I
[6]
논문
Fermi's theory of beta decay
1968-12-01
[7]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http://nobelprize.or[...]
Nobel Media
2011-02-26
[8]
웹사이트
Steven Weinberg, weak interactions, and electromagnetic interactions
http://www.osti.gov/[...]
[9]
보도자료
Nobel Prize in Physics
http://nobelprize.or[...]
[10]
서적
An introduction to nuclear phys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논문
Review of Particle Physics: Quarks
http://pdg.lbl.gov/2[...]
[12]
서적
Story of the W and Z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Coupling Constants for the Fundamental Forces
http://hyperphysics.[...]
Georgia State University
2011-03-02
[14]
웹사이트
The Weak Interaction
http://physnet2.pa.m[...]
Michigan State University
[15]
웹사이트
Electroweak
http://www.particlea[...]
Particle Data Group
2011-03-03
[16]
서적
Gauge Theory of Weak Interac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17]
논문
The algebra of grand unified theories
http://math.ucr.edu/[...]
2013-10-15
[18]
논문
Gauge and Higgs Bosons
http://pdg.lbl.gov/2[...]
[19]
논문
neutron
http://pdg.lbl.gov/2[...]
[20]
뉴스
MicroBooNE sees no hint of a sterile neutrino
https://cerncourier.[...]
2021-11-09
[21]
논문
Revisiting parity non-conservation in cesium
[2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79
http://nobelprize.or[...]
Nobel Media
2011-02-26
[23]
논문
Review of Particle Physics – Higgs Bosons: Theory and Searches
http://pdg.lbl.gov/2[...]
[24]
웹사이트
New results indicate that new particle is a Higgs boson
http://home.web.cern[...]
CERN
2013-09-20
[25]
논문
Strongly coupled standard model
1986-08-01
[26]
서적
American scientists
Facts on File Inc.
[27]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http://nobelprize.or[...]
Nobel Media
2011-02-26
[28]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http://nobelprize.or[...]
Nobel Media
2011-02-26
[29]
논문
CP-Violation in the Renormalizable Theory of Weak Interaction
http://repository.ku[...]
[30]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http://nobelprize.or[...]
Nobel Media
2011-03-17
[31]
서적
CP Violation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32]
서적
Introduction to Elementary Particles
[33]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79: Press Release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2011-03-22
[34]
논문
Versuch einer Theorie der β-Strahlen. I
[35]
논문
Fermi's Theory of Beta Decay
1968-12-01
[36]
웹사이트
Steven Weinberg, Weak Interactions, and Electromagnetic Interactions
http://www.osti.gov/[...]
2018-07-15
[37]
뉴스
1979 Nobel Prize in Physics
https://www.nobelpri[...]
[38]
서적
Cottingham & Greenwood
Cottingham & Greenwood
[39]
논문
Review of Particle Physics: Quarks
http://pdg.lbl.gov/2[...]
[40]
서적
Story of the W and Z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웹사이트
Coupling Constants for the Fundamental Forces
http://hyperphysics.[...]
Georgia State University
2011-03-02
[42]
웹사이트
The Weak Interaction
http://physnet2.pa.m[...]
Michigan State University
2019-10
[43]
웹사이트
Electroweak
http://www.particlea[...]
Particle Data Group
2011-03-03
[44]
서적
Gauge Theory of Weak Interac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45]
서적
Cottingham & Greenwood
Cottingham & Greenwood
[46]
서적
Cottingham & Greenwood
Cottingham & Greenwood
[47]
서적
Cottingham & Greenwood
Cottingham & Greenwood
[48]
논문
The Algebra of Grand Unified Theories
https://math.ucr.edu[...]
2013-10-15
[49]
논문
Gauge and Higgs Bosons
http://pdg.lbl.gov/2[...]
[50]
논문
n
http://pdg.lbl.gov/2[...]
[51]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79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2011-02-26
[52]
논문
Review of Particle Physics – Higgs Bosons: Theory and Searches
http://pdg.lbl.gov/2[...]
[53]
웹사이트
New results indicate that new particle is a Higgs boson | CERN
http://home.web.cern[...]
Home.web.cern.ch
2013-09-20
[54]
논문
Strongly coupled standard model
http://prd.aps.org/a[...]
2019-02-04
[55]
서적
American scientists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Inc.
[56]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57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2011-02-26
[57]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80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2011-02-26
[58]
논문
CP-Violation in the Renormalizable Theory of Weak Interaction
https://doi.org/10.1[...]
The Yukawa Institute for Theoretical Physics and the Physical Society of Japan
2023-12-07
[59]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8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2020-06-09
[60]
서적
CP violation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